
[순천/전라도뉴스] 광주・전남 최초로 글로컬대학30에 선정되며 지역 중심대학으로 우뚝선 국립순천대학교(총장 이병운)의 개교 90주년 기념 행사가 성료됐다.
14일, 70주년기념관 우석홀에서 진행된 이번 개교기념식은 지역사회와 함께한 지난 90년의 역사를 되돌아보고, 다가오는 미래 100년을 향한 미래 비전을 함께 제시하며 대비하기 위한 다짐의 자리가 됐다.
이날 기념식에는 국립순천대 이병운 총장을 비롯한 허상만(3대)·고영진(9대) 총장 등 역대 총장과 강문식 국립순천대 발전후원회 위원장, 김영록 전라남도지사, 김문수·권향엽 국회의원, 노관규 순천시장, 정인화 광양시장, 공영민 고흥군수, 김순호 구례군수, 시·도의원 등 지역 주요 인사를 비롯해 임경호 전국 국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장(국립공주대 총장), 송하철 국가중심 국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장(국립목포대 총장), 박상철 광주·전남지역 대학교 총장협의회장(호남대 총장), 언론 및 산업계 관계자, 동문, 학생과 주요 보직자, 교직원 등 1,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립순천대의 역사와 성장을 확인하며 무한한 가능성에 함께 기뻐했다.

국립순천대학교는 1935년 우석(友石) 김종익 선생이 ‘농업으로 배고픔을 해결하자’는 뜻을 품고 순천공립농업학교로 출범한 이후, 1979년 순천농업전문대학, 1982년 4년제 순천대학, 1991년 종합대학인 국립순천대학교로 개편되며 지역의 대표 고등교육기관으로 성장해 왔다. 1990년대 이후 학부·대학원 체계를 정비하고, 2000년대에는 산학협력, 국제화, 교육 특성화 부문에서 전국 주요 국립대학들과 어깨를 나란히 해왔다.
최근에는 ‘글로컬대학30’ 선정을 계기로 3대 특화 분야(그린스마트팜, 애니메이션·문화콘텐츠, 우주항공·첨단소재) 중심의 스쿨제로 전환하고, 전공의 경계를 허무는 교육을 실천하는 중이다. 또한, △순천·광양·고흥 ‘지산학캠퍼스’ 조성 △전남형 ‘라이즈(RISE) 사업’ 참여 등을 통해 지역과 세계를 연결하는 거점대학으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다지고 있다.
또한, 국립대학육성사업 광주·전남 유일 ‘S등급’ 획득(2024년), 호남권 4년제 국립대학 중 최고 신입생 충원율(99.7% 달성, 2025학년도), 전남도 공모 ‘RISE(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사업 10개 주관 과제 모두 선정 등 많은 성과를 이루고 있다.

이병운 총장은 기념사에서 “국립순천대의 90년은 단지 축적된 시간이 아니라, 지역과 함께해 온 실천의 역사”라며, “그간 우리 대학은 진리를 추구하되 언제나 현실과 연결해 새로운 가치를 창조해 왔으며, 앞으로도 실천과 연결을 바탕으로 고등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가겠다”라고 밝혔다.
이어 “AI 대전환기를 맞아 끊임없이 질문하고, 실천하며, 지역과 세계를 연결하는 대학으로 도약해야 한다”라며, “찬란했던 90년의 역사를 넘어, 대학의 상징인 낙우송의 가지처럼 100년의 미래를 향해 힘차게 뻗어나가자”라고 강조했다.

김영록 지사는 축사에서 “전남도는 대학 혁신과 미래인재 양성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순천대가 항상 전남 발전의 든든한 동반자로서 지역사회와 함께 더 깊이 호흡하고 세계와 소통하는 명문대로 우뚝 서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진 노관규 순천시장의 축사에서는 "국립순천대학교가 보여준 도전정신과 가능성은 오직, 지역과 함께하며 상호 발전하기 위한 동기에서 출발됐다고 본다"면서 "앞으로도 국립순천대학교가 지역 거점 중심 대학으로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국립순천대학교는 개교 90주년을 기념하여 다양한 기획 사업과 외부 협력 기반을 확대해 나가고 있으며, 개교 100주년을 향한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글로컬 융합전공 신설, 글로벌 캠퍼스 구축 등 다음 세대를 위한 도약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편, 이날 기념식에서는 지역과 사회 각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는 세 명의 동문과 교원을 ‘자랑스러운 순천대인’으로 선정해 시상하였다. 수상자는 허순구 광양농협 조합장, 이인혁 미국 조지아대 교수, 여현 국립순천대 인공지능공학부 교수다. 이들은 각자의 분야에서 탁월한 성과를 이루고 대학과 지역사회 발전에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