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콘텐츠·우주항공·그린바이오산업 등 3대 경제축 정착

[순천/전라도뉴스] 순천시(시장 노관규)가 민선8기 3주년을 맞아 시정 성과와 향후 전략을 담은 언론인 브리핑을 진행했다.
노관규 순천시장은 1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순천은 끊임없이 미래를 창조해 온 도시이며, 이제는 정원과 3대 경제축 등을 기반으로 치유도시로 만들어 가겠다”며 남은 1년의 계획들을 발표했다.
그러면서 “ 2023년 순천만국가정원박람회 성공 개최는 순천의 위상과 도시에 대한 자부심을 높였고 많은 도시들이 순천을 따라서 정원박람회를 준비하거나 도시계획을 변화시키고 있다”면서 “517개가 넘는 국가기관 등이 방문하고,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로부터 전국 226개 기초 지자체를 위기에서 구해낸 도시라고 특별상을 받았다”고 자부했다.
또한, “국민 5명 중 1명이 다녀간 국가정원은 에버랜드를 제친 국내 1위 관광지가 됐고, 지난해에도 425만명이 방문해 지역경제의 든든한 마중물이 되고 있다”면서 “순천을 방문한 국제기구에서도 순천의 생태철학 리더십과 경쟁력이 전 세계에 공유할 매우 큰 가치를 지닌다”고 평가했다.

순천시는 진행되고 있는 미래산업 3대 경제축을 정착하면서 산업 생태계를 본격화할 전망이다.
이를 위해 정원도시를 토대로 안정적으로 구축해 가고 있는 문화콘텐츠·우주항공·그린바이오 등 미래산업 전략을 집중 관리하고 문화콘텐츠 산업은 세계적인 애니·웹툰 기업 로커스, 케나즈의 법인 이전을 완료했고, 25개 콘텐츠 기업이 하반기 중 원도심 등에 입주 예정이다.
순천시는 앞으로 순천형 도시 전략의 핵심 축으로 부상하고 있는 치유 산업에 대해서도 큰 변화를 예고했다.
노 시장은 “현재 진행중인 갯벌치유관광플랫폼을 중심으로 순천만 인근과 도시 곳곳에 흩어져 있는 각 치유산업 기반들을 잘 연결해서 대한민국 최고의 치유도시로 만들 계획이다”며 “해당 사업은 국비 160억 원 등 예산 확보와 중앙정부 행정절차를 완료한 상태로, 순천만 인근과 도심 곳곳의 치유산업 거점들을 연결하는 구조로 설계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해 지난 영국·독일 연수를 통해 순천형 치유모델의 경쟁력을 국제적으로 확인했다. 앞으로 치유산업을 중심으로 문화콘텐츠와 바이오산업까지 결합하는 융합형 산업 생태계를 조성해 지역경제 순환의 새로운 엔진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순천은 그동안 다져온 생태 기반을 바탕으로 세계가 주목할 수 있는 생태도시 리더로 발돋움하고 있다.
주요 현안인 순천만에서 도심까지 이어지는 생태축 완성과 고부가가치 치유산업 생태계 조성,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가입 및 총회 유치 등을 통해 국제환경 협력에 적극 나설 예정이다.
순천은 이밖에도 글로벌 콘텐츠 산업의 중심도시로의 전환을 통해 생태문화 기반의 새로운 경제 가치 창출에 힘을 쏟을 계획이며, 시민중심의 시정과 민생회복 중심의 시정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추진한다는 포부를 가지고 있다.
노 시장은 “순천은 산업·문화·복지·환경을 고르게 갖춘 도시이며, 살면서 꼭 한 번은 가봐야 할 도시, 순천으로 완전히 탈바꿈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마부정제(馬不停蹄)의 각오로 쉬지 않고 새로운 미래를 창조해 나가겠다”고 밝혔다.